1. 경제적 파트너
한국 경제는 수출 주도형 성장 모델을 기반으로 오랜 기간 발전해 왔습니다. 이 중 중국과 미국은 각각 한국 전체 수출의 20% 안팎을 차지하는 핵심 시장입니다.

하지만 양국 의존도는 시간 흐름에 따라 서로 다른 궤적을 그리며 변화해 왔습니다. 본고에서는 2015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의 대중(對中)·대미(對美) 수출 의존도 추이를 비교 분석하고, 경제·외교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합니다.
2. 대중·대미 수출 의존도 추이
- 2015년: 중국 25.0% vs 미국 12.5%
- 2018년: 중국 26.8% (정점) vs 미국 14.5%
- 2020년: 중국 23.5% vs 미국 16.0%
- 2023년: 중국 19.7% vs 미국 18.0%
위 수치는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바탕으로 산출된 것으로, 2015년 대비 중국 의존도는 다소 감소한 반면, 미국 의존도는 꾸준히 상승해 2023년에는 격차가 1.7%p로 좁혀졌습니다.
연도 | 대중국 수출의존도 (%) | 대중국 수출(US$ · KRW) | 대미국 수출의존도 (%) | 대미국 수출(US$ · KRW) |
2015 | 25.0 | 131.688 · 191.4조원 | 12.5 | 65.844 · 95.7조원 |
2016 | 26.0 | 128.809 · 187.4조원 | 13.0 | 64.404 · 93.7조원 |
2017 | 26.5 | 152.057 · 221.0조원 | 14.0 | 80.308 · 116.8조원 |
2018 | 26.8 | 162.087 · 235.7조원 | 14.5 | 87.697 · 127.4조원 |
2019 | 25.5 | 138.755 · 201.8조원 | 15.0 | 81.326 · 118.1조원 |
2020 | 23.5 | 120.414 · 175.2조원 | 16.0 | 81.987 · 119.3조원 |
2021 | 21.5 | 163.926 · 238.0조원 | 17.0 | 129.457 · 188.2조원 |
2022 | 20.5 | 165.646 · 240.8조원 | 17.5 | 141.405 · 205.6조원 |
2023 | 19.7 | 148.449 · 215.7조원 | 18.0 | 135.639 · 197.2조원 |
3. 원인 분석
- 중국 의존도 하락 요인
- 중국 경기 둔화: ‘제로코로나’ 정책, 부동산 시장 침체로 수입 수요 감소
- 공급망 재편: 글로벌 기업들의 생산기지 다변화로 한국 기업도 중국 비중 축소
- 미국 의존도 상승 배경
- 고부가가치 산업 호조: 반도체·자동차·바이오 등 대미 수출 성장
- 미·한 FTA 활용: 관세 혜택 확대와 공급망 신뢰 증대로 대미 교역 확대

4. 경제·외교적 시사점
- 리스크 분산: 중국·미국 양대 시장에 과도하게 의존할 경우, 미·중 갈등이 직접적 충격으로 이어짐
- 다변화 전략 필요: ASEAN·EU·인도 시장 개척을 통해 제3국 수출 비중을 늘려야 함
- 고부가가치 확대: 첨단산업 중심 수출 비중을 높여 경기 변동에 대한 내성 강화
5. 대응 과제 및 전략
- FTA 네트워크 확대: CPTPP 가입과 RCEP 활용으로 시장 접근성 강화
- 서비스·디지털 수출 육성: 제조업 편중 현상 완화, 문화·콘텐츠·소프트웨어 수출 다각화
- 공급망 복원력 제고: 원자재·부품 비축량 확대 및 다국가 투자 유치
6. 결론
한국의 대중 수출 의존도는 2018년 정점을 찍은 뒤 서서히 후퇴해 왔고, 대미 의존도는 기술·서비스 경쟁력 강화로 점진적 상승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중국·미국 두 시장 모두 전체 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만큼, 외교·경제 리스크 관리가 핵심 과제입니다. 정부와 기업이 시장 다변화,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공급망 안정화 전략을 긴밀히 추진할 때, 한국 경제는 미·중 경색 국면에서도 지속 가능한 성장 경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피할 수 없는 중국과의 실리외교(+수출의존도, 한한령 해제, 대만 이슈)
1. 무시할 수 없는 중국의 영향력6월 10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윤석열 대통령의 첫 전화 통화는 한·중 간 오랜 침묵을 깬 역사적 순간이었다. “더 높은 수준의 전략 동반자 관계로
bookseen.tistory.com
중국 대만 침공 가정, 한반도 안보와 대한민국의 군사적 역할(+북한)
1. 군사적, 경제적 위기감 고조최근 미·중 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중국의 대만 군사 압박 가능성이 현실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만약 중국이 대만 해협을 넘
bookseen.tistory.com
미국에 반(反)트럼프 시위가 확산된 진짜 이유(+이민 정책, 경제적 근거)
1. 미국의 피해갈 수 없는 정치적 혼란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 이민자 단속 강화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로스앤젤레스(LA)를 시작으로 뉴욕·시카고·텍사스 등 미국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
bookseen.tistory.com
영덕군 지진, 한반도에 지진이 잦아진 이유(+역대 지진 피해규모, 행동요령)
1. 점점 잦아지는 지진오늘(14일) 낮 경북 영덕군에서 연속으로 소규모 지진이 발생해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을 자아냈다. 12시 22분에 첫 지진(규모 2.0), 이어 13시 58분에 두 번째 지진(규모 2.3)이
bookseen.tistory.com
나라의 근간을 뒤흔드는 차별금지법의 법제화 과정(+배경, 법적 근거, 핵심 논란, 퀴어축제)
1. 차별금지법이란 무엇인가?차별금지법(평등법)은 성별·장애·인종·성적 지향·성별 정체성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는 차별을 국가 차원에서 금지하고, 피해 구제 절차를 마련하는 법안입니
booksee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