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카드가 5월 15일 ‘카드의 정석 2’(이하 정석 2)를 선보이며 자사 대표 라인업을 업그레이드했다. 2017년 첫 출시 후 누적 발급 400만 장을 돌파한 ‘카드의 정석’ 시리즈의 첫 CEO 취임 후 신제품이라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된다.


1. 혜택 구조 ― “조건 없이 최대 연 6 만 원 추가 할인”
구분 | 혜택 | 비교 |
기본 할인 | 국내‧해외 모든 가맹점 1.2 % 즉시 할인 | 실적‧전월 사용 조건 無 |
분기별 추가 캐시백 | 분기 실적 150만 원 달성 시 1만 5,000 원 캐시백 | 연간 최대 6만 원(4 분기) |
통합 할인 한도 | 제한 없음(캐시백 별도) | 대형 결제에도 고정 1.2 % 적용 |
예시) 연간 결제 3,000만 원(월 250만 원) 가정 시
· 즉시 할인 = 36만 원
· 분기 캐시백 = 6만 원
▶ 총 혜택 42만 원 (실질 할인율 1.4 %)

2. 디자인 옵션 ― “블루 or 퍼플, 심플해도 존재감”
- 블루 라인: 브랜드 대표색을 살린 네온 포인트 + 대담한 로고 배치
- 퍼플 라인: 퍼플·그레이 투톤에 라인 포인트로 세련미 강조
- 인몰(IN-MOLD) 전면 인몰 인쇄: 카드 앞면을 QR-like 패턴으로 크게 덮어 ‘혜택이 가득’한 이미지를 시각화
신용카드 연회비(국내전용·해외겸용 모두) 22,000 원. 전작(정석 BASIC)과 동일 수준이다.


3. 타깃 고객 - “혜택 설계가 귀찮은 얼리밀레니얼·MZ”
특징 | 정석 2 적합도 |
간편결제·온라인 쇼핑 빈도 ↑ | 가맹점 구분 없이 1.2 % 즉시 할인 |
다양한 구독 서비스 | 자동결제 누적액에도 동일 혜택 |
해외 직구·여행 재개 | 비자/마스터 택 1—해외 이용도 1.2 % |
우리카드는 “‘어디 가서 할인되는지’ 고민 없이 쓸수록 이득이 되는 구조”라고 강조했다. 기존 파편화된 업종별 혜택보다 심플한 정률할인을 선호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초점을 맞춘 셈이다.

4. 이전 시리즈 대비 달라진 점
항목 | 정석 BASIC(2017) | 정석 2(2024) |
할인 방식 | 업종별 0.7 ~ 1.5 % 차등 | 전 가맹점 1.2 % 단일 |
월 할인 한도 | 3 만 원 | 무제한 |
추가 캐시백 | 없음 | 분기 1만 5,000 원 |
디자인 | 1종(컬러 변경 불가) | 2종 (블루·퍼플) |

5. 시장 반응과 향후 과제
- 카드업계: “무한 정률 할인은 손익 악화 우려가 있지만 실적·실사용률 증대 효과 기대”
- 소비자 커뮤니티: 간편성 호평 vs 연회비·캐시백 조건 “평범” 지적
- 경쟁사 동향: 신한·현대·롯데카드도 ‘올가맹점 정률’ 라인업 확대 검토
관건: 고정 1.2% 할인의 유지 가능 기간. 카드사는 통상 2~3년 주기 리뉴얼·혜택 축소를 해왔기에, “혜택 변경 시 사전 고지 6개월” 조항 확인이 필요하다.


요약
- 우리카드 ‘카드의 정석 2’ = 전 가맹점 1.2 % 즉시 할인 + 분기 실적 캐시백(최대 연 6 만 원)
- 심플·무제한 구조로 MZ·온라인 결제 중심 소비 패턴 공략
- 연회비 2만 2,000 원, 블루/퍼플 2가지 디자인

카드 신청방법
우리은행 '카드의 정석2' 신용카드 신청바로가기

함께 보면 좋은 글
21일 까지 홈플러스 ‘마이홈플러스 멤버십 특가’ 역대급 혜택 총정리
21일 까지 홈플러스 ‘마이홈플러스 멤버십 특가’ 역대급 혜택 총정리
대형마트 홈플러스가 식탁 물가를 확 낮춰 줄 ‘마이홈플러스 멤버십 특가’ 행사를 진행합니다. 멤버십 회원이라면 추가 할인은 물론, 카드 결제·묶음 구매 혜택까지 겹쳐 한층 더 알뜰한 장
bookseen.tistory.com
최대 7.2% 금리? '궁금한 적금' 시즌3 가입방법 총정리
최대 7.2% 금리? '궁금한 적금' 시즌3 가입방법 총정리
궁금한 적금 바로가기궁금한 적금 바로가기케이뱅크 ‘궁금한 적금 시즌3’ 론칭 – 디즈니 ‘릴로 & 스티치’와 만난 테마형 저축상품케이뱅크가 5월 14일 엔터테인먼트 기업 월트디즈니 컴퍼
bookseen.tistory.com
역대급 상품! ‘청년도약계좌’ 6월 출시 확정! 완벽 가이드
역대급 상품! ‘청년도약계좌’ 6월 출시 확정! 완벽 가이드
청년도약계좌는 19~34세 청년이 5년 동안 꾸준히 적금을 넣으면 최대 5 000만 원 안팎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기여금’을 얹어 주는 정책형 자산형성 상품입니다. 월 70만 원까지 납입
booksee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