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들어 이더리움(ETH) 네트워크에서는 하루 2, 500 ETH를 넘어 1만 ETH 이상이 순식간에 소각되는 ‘공급 충격(supply shock)’ 현상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NFT 민팅과 같은 일회성 수요가 아니라,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가 불러온 구조적 변화라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시선이 집중됩니다. 아래에서는
- 무엇이 달라졌는지,
- 실제 온체인 수치가 어떻게 변했는지,
- 향후 체크해야 할 변수는 무엇인지 총 세 단계로 정리했습니다.


1. 펙트라가 바꾼 것은 ‘구조’가 아니라 ‘쓰임새’
키 EIP |
핵심 기능 | 수급·수요 영향 |
EIP-7702 (Account Abstraction) |
기존 일반 계정(EOA)을 일시적으로 스마트컨트랙트처럼 동작시켜 여러 명령을 한 번에 처리 | ① 사용자당 트랜잭션 수↑ ② 가스 소비↑ → 소각 ETH 증가 |
EIP-4844 (Blob 트랜잭션) |
L2 롤업 데이터 저장 공간(블롭) 확장 → 블롭 포함 TX 비중 2배↑ | 블롭 포함 TX 수수료가 EIP-1559 소각 대상 → 소각량↑ |
EIP-1153 (Transient Storage) |
스마트컨트랙트의 임시 저장소 도입 → 복잡 연산을 저가로 해결 | 기업·금융 dApp 복귀 촉진 → 네트워크 활용도↑ |
비탈릭 부테린: “EIP-7702는 계정 추상화를 향한 현실적 다리…사용자 경험과 확장성이 함께 개선됐다.”

2. 실제 수치로 확인한 변화
구분 | 덴콘(3월) | 펙트라 이후(5월) | 증감 |
일일 트랜잭션 수 | 약 1.2 M | 1.7 M+ | ▲ 40 % |
블롭 포함 TX 비율 | 20 ~ 25 % | 35 ~ 45 % | ▲ 70 %p |
평균 일일 소각량 | 1,200 ~ 1,500 ETH | 2,500 ~ 3,000 ETH | ▲ 100 % |
최고 일일 소각치 | 2,300 ETH | 4,100 ETH (5 월 9 일) | ▲ 78 % |
※ 자료: ultrasound.money, beaconcha.in
요약: 트랜잭션 수와 블롭 비중이 급증 → 가스 소모가 늘면서 EIP-1559 소각 메커니즘이 ‘자동 가속’되었습니다. 공급 순감 속도가 두 배 이상 빨라진 셈입니다.

3. 왜 ‘디플레이션 자산 서사’가 재점화되나?
- 자연 소각 > 신규 발행
- 스테이킹 보상으로 발행되는 ETH(연 0.9 ~ 1.1 %)보다 소각 속도(연 1.2 ~ 1.8 % 추정)가 더 빨라져 순발행이 음수(–) 전환.
- 네트워크 실사용 지표 회복
- 2022~23년 ‘dApp 침체기’ 이후 처음으로 기업형 dApp·RWA·L2 롤업 트래픽이 메인넷으로 복귀.
- 차세대 업그레이드 예고(‘푸사카’)
-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DAS)을 포함한 덴크샤딩 완전체가 연이어 대기 중 → “NFT 붐과 무관한 구조적 수요”라는 신뢰 강화.
전설적 트레이더 피터 브란트도 최근 “ETH 차트에 문샷 패턴이 완성될 여지가 있다”고 언급하며 기술·펀더멘털 동시 호재를 강조했습니다.


4. 투자자가 살펴야 할 4대 체크포인트
체크포인트 | 주시 이유 | 긍정 시그널 | 주의 시그널 |
① 거래소 순유출 | 매도 대기 물량 여부 | 일평균 –10 k ETH 이상 지속 | 순입금 전환 |
② 블롭 TX 비중 | L2→메인넷 트래픽 회귀 지표 | 40 % 이상 유지 | 25 % 이하 급락 |
③ 검증자 APR | 과도한 스테이킹 탈출 위험 | 3 %대 안정 | 급등(=예치 감소) |
④ ‘ICO 고래’ 온체인 움직임 | 장기보유 물량 매도 감시 | 고래 지갑 정체 | 5k ETH 이상 대량 출금 |
실제로 2015년 제네시스 블록 참가 고래 주소가 최근 7,000 ETH(100만 달러 이상)를 매도한 사례가 포착돼 단기 심리 부담 변수가 남아 있음을 보여 줍니다.



결론 — “이더리움, 다시 서사의 중심에”
펙트라는 기술 잠재력을 ‘실사용 수요’로 전환하는 기폭제가 됐습니다. 구조적 소각 가속과 네트워크 실수요 증가는 ETH를 다시 디플레이션 자산으로 자리매김시키고 있습니다.
다음 단계 ‘푸사카(Fusaka)’가 데이터 샤딩 완성을 넘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수 있을지, 그리고 공급 쇼크가 가격 추세로 이어질지가 올 하반기 ETH 시장의 핵심 관전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투자 유의
공급 감소가 장기 상승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거시 유동성·고래 매도·ETF 승인 여부 등 복합 변수에 대비해 포지션 규모와 리스크 한도를 관리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들
이더리움 엄청난 회복, 두 달 만에 2,200달러 회복, 펙트라 업데이트?
이더리움 엄청난 회복, 두 달 만에 2,200달러 회복, 펙트라 업데이트?
1. 25 % 급등…가격 반등의 신호탄9일(UTC) 하루 만에 이더리움(ETH) 가격이 약 25 % 치솟으며 2,220 달러 선을 회복했다. 한때 1,385 달러까지 밀렸던 약세 흐름이 깨진 것이다. 전일 24 시간 동안 23 % 이
bookseen.tistory.com
모르면 손해보는 비트코인과 M2 통화량의 상관관계 총정리 !
모르면 손해보는 비트코인과 M2 통화량의 상관관계 총정리 !
M2 통화량이란 무엇인가요?M2는 현금, 요구불·저축예금, 머니마켓펀드 등 ‘즉시-유동성’이 높은 자산을 모두 합친 광의통화 지표입니다. 중앙은행이 돈을 더 찍어내거나(양적완화) 시중은행
bookseen.tistory.com